건자재값 상승에 따라 분양가 압박…주요 시멘트 업체들 가격 인상
페이지 정보

본문
최근 건자재값 상승으로 인해 분양가가 상승 압력을 받고 있는 상황이다. 이에 따라 입지나 상품이 우수한 수요자들의 움직임도 활발하게 나타나고 있다.
18일 건축자재 및 건설업계에 따르면, 이번달부터 1종 벌크 시멘트의 가격이 상승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인상은 전기료 부담이 커진 것이 주된 원인이다.
올해 한국전력은 1분기에는 13.1원/㎾h, 2분기에는 8.0원/㎾h 두 차례에 걸쳐 전기료를 인상했다. 3분기 전기료는 동결되었지만, 현재 한전의 적자가 많은 상황이어서 동결 조치는 잠시 이뤄질 것으로 예상된다.
안정된 줄 알았던 유연탄 가격도 최근에 다시 반등하고 있는데, 지난 14일 기준 유연탄의 가격은 t당 112.14달러로 전주 대비 1.35달러 상승했다. 이는 전월 말부터 반등세를 이어오고 있으며, 3년 전과 비교했을 때 2배 이상 상승한 가격이다.
건자재값 상승에 따라 공사비도 상승세다. 지난 5월 기준 건설공사비지수는 3년 전보다 33.21 포인트 급등하여 151.16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건설사들의 부담은 분양가에 반영되었는데, 지난달 서울의 1㎡당 평균 민간분양가는 전년 대비 약 13.16% 상승한 967만5000원으로 집계되었다. 전월 대비해서도 2.77% 상승한 수치로, 최근 4개월 연속 상승세다.
분양가 상승세에 더해 최근에는 인허가가 급격히 위축되는 상황이다. 이에 대한 대응이 필요한 상황으로 보인다.
18일 건축자재 및 건설업계에 따르면, 이번달부터 1종 벌크 시멘트의 가격이 상승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인상은 전기료 부담이 커진 것이 주된 원인이다.
올해 한국전력은 1분기에는 13.1원/㎾h, 2분기에는 8.0원/㎾h 두 차례에 걸쳐 전기료를 인상했다. 3분기 전기료는 동결되었지만, 현재 한전의 적자가 많은 상황이어서 동결 조치는 잠시 이뤄질 것으로 예상된다.
안정된 줄 알았던 유연탄 가격도 최근에 다시 반등하고 있는데, 지난 14일 기준 유연탄의 가격은 t당 112.14달러로 전주 대비 1.35달러 상승했다. 이는 전월 말부터 반등세를 이어오고 있으며, 3년 전과 비교했을 때 2배 이상 상승한 가격이다.
건자재값 상승에 따라 공사비도 상승세다. 지난 5월 기준 건설공사비지수는 3년 전보다 33.21 포인트 급등하여 151.16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건설사들의 부담은 분양가에 반영되었는데, 지난달 서울의 1㎡당 평균 민간분양가는 전년 대비 약 13.16% 상승한 967만5000원으로 집계되었다. 전월 대비해서도 2.77% 상승한 수치로, 최근 4개월 연속 상승세다.
분양가 상승세에 더해 최근에는 인허가가 급격히 위축되는 상황이다. 이에 대한 대응이 필요한 상황으로 보인다.
- 이전글전국 11개 학교, 집중호우로 인한 학사운영 조정 23.07.21
- 다음글‘휘슬’, 여름 휴가철에 인기 있는 주정차 단속 사전 알림 애플리케이션 23.07.21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